최근 들어 국내 치매환자 수가 100만명을 넘어섰고, 2030년에는 140만명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또한 치매 전 단계인 경도인지장애 환자도 약 34만명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전문가들은 65세 이상 인구 중 7명 중 1명이 치매 또는 경도인지장애를 앓고 있다고 추정하고 있습니다.
특히 경도인지장애 환자의 약 10%가 1년 내 치매로 진행된다는 점에서 관심과 주의가 필요한 상황입니다.
※ 치매초기 증상과 예방
치매의 대표적인 초기 증상은 기억력 저하입니다. 단순 건망증과 달리 인지력과 판단력도 함께 저하되는 특징이 있죠. 이러한 증상이 나타나면 방치하지 말고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합니다.
치매 예방을 위해서는 균형 잡힌 영양 섭취, 만성질환 관리, 규칙적인 운동, 활발한 두뇌 활동이 중요합니다.
특히 나이가 들수록 기억력과 인지력 개선을 위한 관리가 필요한데, 이때 도움이 되는 것이 바로 '포스파티딜세린(Phosphatidylserine)'이라는 물질입니다. 포스파티딜세린은 미국 FDA와 국내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두뇌 건강 기능성 원료로 인정받았습니다.
※ 포스파티딜세린 특징과 효과
포스파티딜세린은 뇌세포막을 구성하는 주요 성분으로, 노화가 진행되면서 뇌세포 내 포스파티딜세린 양이 줄어들어 신경세포 간 신호 전달이 둔화되면서 기억력 감퇴, 인지력 저하가 나타납니다.
이때 포스파티딜세린을 보충하면 신경세포막을 활성화하고 신호 전달 기능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또한 포스파티딜세린은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의 합성과 분비를 촉진시켜 신경세포 간 신호 전달을 원활하게 하고, 수상돌기 밀도를 증가시켜 뇌세포 간 정보 교환을 개선합니다. 더불어 치매의 원인 물질로 알려진 베타 아밀로이드 축적을 억제하는 효과도 있습니다.
이처럼 포스파티딜세린은 다양한 기전을 통해 기억력과 인지력 개선에 도움을 줍니다. 실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치매 환자와 노인들에게 포스파티딜세린을 투여했을 때 기억력, 학습능력, 인지능력 등이 유의미하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따라서 나이가 들수록 기억력과 인지력 저하에 주목하고, 포스파티딜세린과 같은 영양제를 활용해 적극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치매 예방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균형 잡힌 식단과 규칙적인 운동, 활발한 두뇌 활동 등 종합적인 노력이 필요합니다.
👉 국내 최고 치매 전문의가 밝히는 뇌 건강 솔루션과 습관에 대한 도서
'일상정보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매체크앱 기능과 설치 알아보기 (0) | 2024.06.06 |
---|---|
치매자가진단 체크리스트 (0) | 2024.06.06 |
기억력 개선을 위한 6가지 방법 (1) | 2024.06.03 |
글루타치온의 효능 및 부작용 (0) | 2023.05.06 |
(같이 키워 DREAM)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대상 지원내용 안내 (0) | 2023.05.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