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재직자 내일채움공제 플러스 개요】
청년재직자 내일채움공제 플러스는 지난해 종료된 청년재직자 내일채움공제의 후속 사업으로
제조 건설 분야 50인 미만 중소기업에 6개월 이상 재직 중인 연소득 3600만 원 이하 중소기업 청년 근로자가
3년간 청년·기업·정부가 600만 원씩 공동 적립하면 가입자는 만기 시 1800만 원에 복리이자를 포함한 금액을 수령할 수 있는 장기재직 및 자산형성 지원이 목적인 제도입니다.
2023년 청년재직자 내일채움공제 플러스 신청자격 과 신청방법에 대해 잘 알아보셔서 해당하시는 분들은
꼭 혜택받으시길 바랍니다.
【신청조건】
1) 지원대상(청년)
중소기업에 6개월이상 재직 중인 연소득 3,600만원 이하의 청년 정규직 근로자 (만 15세 이상 34세 이하)
* 다만, 군필자의 경우 복무기간에 비례하여 연령을 연동하여 적용하며, 최고연령은 만 39세로 한정합니다.
2) 지원대상(기업)
제조업 또는 건설업을 영위하며, 종업원 50인 미만인 기업
※ 가입 제한 기업
1) 휴·폐업중인 기업. 다만, 재해를 직접 원인으로 휴업중인 기업은 가동중인 기업으로 간주하여 가입대상에 포함
2) 국세 또는 지방세를 체납중인 기업. 다만, 세금분납계획에 따라 성싵하게 세금을 납입하고 있는 기업은 가입대상에 포함
3) 부정수급 시도 등의 사유로 중진공이 공제계약을 해지한 후 1년이 경과되지 아니한 기업 및 부정수급을 안날로부터
2년이 경과 하거나, 보조금법 등에 의해 환수 금액을 반환하지 아니한 기업
【신청방법】
- 온라인 : ➡️내일채움공제 홈페이지(www.sbcplan.or.kr)
- 오프라인 :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지역본부·지부
【구비서류】
중소기업 | 핵심인력 |
|
|
【가입기간 및 가입혜택 】
- 3년 만기제
- (기업) 기업부담금에 대한 세제혜택 (손비인정+인력개발비 세액공제)
- (인력) 본인부담금 대비 3배 이상의 만기금 수령 (월 33.3만원 임금상승 효과)
【 지원내용 및 적립구조】
- 청년, 기업, 정부가 함께 적립 → 3년 근속 시 1800만원 자산형성
- 청년 : 3년간 600만원 적립 (1년차: 14만원, 2~3년차: 18만원)
* (납입방식) 사전에 설정한 청년근로자 명의 시중은행 계좌에서 매월 정해진 날짜
(5일, 15일, 25일 중 청년근로자 본인이 선택)에 자동이체
- 기업 : 3년간 600만원 적립 (1년차: 14만원, 2~3년차: 18만원)
* (납입방식) 사전에 설정한 중소기업 명의 시중은행 계좌에서 매월 정해진 날짜
(5일, 15일, 25일 중 청년근로자 본인이 선택)에 자동이체
- 정부 : 3년간 600만원 적립 (3년간 6회 분할적립)
* (적립방식) 3년간 총 6회(1, 6, 12, 18, 24,30개월)에 걸쳐 성과보상기금에 적립
지금까지 청년재직자 내일채움공제 플러스 신청자격 및 신청방법 등에 대해 정리해보았습니다.
다음에는 청년재직자 내일채움공제 플러스 중도해지 신청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일상정보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세사기피해 임차인에 2.4억원, 1.2% 저금리 대환대출 주요내용 안내 (0) | 2023.04.22 |
---|---|
청년재직자 내일채움공제 플러스 재가입안내 및 중도해지 신청방법 (1) | 2023.04.22 |
여성에게 좋은 15종류의 슈퍼푸드 (1) | 2023.04.17 |
하이패스 미인식, 톨게이트 통행료 미납 납부 처리 방법 5가지 (0) | 2023.04.16 |
비정상거처(쪽방, 고시원, 지하층) 이주지원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 (5천만원 무이자 대출, 이사비 40만원 지원) (1) | 2023.04.16 |